메이커 코인 (MKR)이란?
메이커 코인이란, 메이커 다오 (Maker Dao) 프로젝트 조직이 발행한 가상화폐이며, 주로 메이커 다오의 거버넌스 참여를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들어, 메이커 다오의 프로젝트를 변경하고 싶거나, 제안서를 제출할 때 메이커 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라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권한을 가집니다.
메이커 코인 시세 및 발행량
[ccpw id=”37262″]
메이커 코인 (MKR) 소개
이더리움 네트워크인 ERC-20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메이커 코인은 거버넌스 활동 뿐 만아니라, 다이 (DAI) 코인의 생태계를 유지하는데에 있어서도 사용됩니다.
다이 코인은 미국 달러 법정화폐 시세와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스테이블 코인 종류 중 하나이며, 다이의 시세 유지를 위한 담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메이커 코인이 사용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이 (DAI)의 안정성 유지를 위해 사용된 MKR 코인은 영구적으로 소각됩니다. 영구 소각을 통해, 메이커 코인은 수시적으로 발행량이 감소됩니다. 발행량이 감소되면서, 시장상황의 따라 가파른 시세 상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이커 프로토콜 (Maker Protocol)
메이커 프로토콜은 이더리움의 디앱 중 하나이며, 여러 고급 블록체인 개발자와 외부 파트너를 통해 만들어진 최신 기술의 디파이 코인의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주 역할은 다이에 담보로 맡긴 암호화폐를 저장 (보관) 하는데에 사용됩니다.
메이커 프로토콜은 메이커 코인 투자자들이 참여하는 메이커 다오 거버넌스 의해 관리가 되고 있습니다. 거버넌스의 주목적과 활동은 다이 코인의 담보 리스크를 관리하거나, 다이의 안정성과 투명성 및 효율성을 더 극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토론과 제안서가 제출되고 있습니다.
거버넌스
![메이커 코인 (MKR) 시세, 발행량 | 컨셉 정보 2 메이커 코인 거버넌스](https://lifeblog.co.kr/wp-content/uploads/2023/09/메이커-코인-거버넌스.jpg)
메이커 코인 거버넌스는 현재까지도 많은 투자자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다른 디파이 코인의 비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위 이미지와 같이 거버넌스 제안서가 제출되고 승인되면, MKR 코인을 통해 거버넌스 투표에 참여할 수 있으며, 제안서가 통과되면 실행됩니다.
스파크 프로토콜 (Spark Protocol)
스파크 프로토콜은 메이커 코인 다오 조직의 또 다른 금융 어플리케이션입니다. 다이의 담보대출 및 디파이 예치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는 탕중앙화된 금융 플랫폼으로 작동됩니다.
사용자들의 자산을 100% 보관하지 않으며, 다른 디파이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암호화폐 지갑 연결만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중간 개입자 없이, 언제 어디서나 담보대출 혹은 디파이 이자 수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보물을 제공하는 대출 같은 경우는 위에서 말씀드린 메이커 프로토콜 (메이커 스마트계약)에 저장됩니다.
다이 코인 (DAI)
본 블로그에서 다이코인을 검색하면 다이의 대해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이는 테더USDT와 코인베이스의 USDC 코인과 다르게, 담보 방식으로 작동되는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사람들이 특정 암호화폐의 담보물을 제공하면 담보비율의 따라 적절한 다이 코인이 발행됩니다. 여기서, 다이 코인의 시세 안정화를 위해, 담보물의 시세가 하락되면 자동으로 판매됩니다.
또, 사용자가 담보물을 통해 빌린 다이 코인의 이자를 제대로 상환하지 못하는 경우, 일부 담보물 청산이 발동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청산된 담보물과 자동으로 판매되는 시스템이 있기에 안정적인 스테이블 코인 중 하나로 언급됩니다.
뿐 만아니라,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부족한 부분은 메이커 코인을 통해서 해결하기 때문에 더욱더 안정적이기도 합니다.
메이커 코인 전망
메이커 코인 시세 상승 전망이나, 가치 전망 모두 다이 코인의 유동성이나 담보대출 이용량에 의해 결정되겠습니다. 담보대출 이용자가 많아질수록 더 많은 메이커 코인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 영구적으로 소각됨으로써, 시세 상승 기대를 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