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상폐되면 5가지 사레 및 상폐 기준과 이유

코인 상폐되면 5가지 사레 및 상폐 기준과 이유

비트코인과 이더리움과 같은 인기가 많거나 이미 가상화폐 시장에서 완벽한 생태계가 구성되어있는 가상화폐들은 코인 상폐가 가능성은 없습니다. 반대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내가 거래소 사장이라고 가정한다면, 문제를 일으키는 코인이 있거나, 인기가 없고 거래량이 적은 코인이라면, 아무래도 유지관리하는데에 비용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상폐를 결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코인 상폐되면 5가지

  • 출금은 가능, 거래는 불가능
  • 다른 거래소로 입금 후 거래
  • 코인 상폐 기준
  • 코인 상폐 후 재상장 가능성
  • 코인 상폐 떡상 이유는?

출금은 가능, 거래는 불가능

코인 상폐되면 특정 날짜를 시점으로, 거래를 중단시킵니다. 더 이상 보유한 코인을 해당 거래소에서 매도 매수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출금은 허용하는 편이기 때문에 거래가 가능한 다른 가상화폐 거래소를 이용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국내 거래소에서 상폐된 코인은 비메이저 국내 거래소나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를 해야합니다. 비트겟 거래소같은 다양한 코인이 있으며, 트래블룰 승인된 거래소라면 더 안전한 거래가 가능합니다.

다른 거래소로 입금 후 거래

상폐 코인이 상장되어있는 다른 거래소를 발견하셨다면, 그 거래소로 출금 및 입금 과정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입출금 같은 경우는 기존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시면 되며, 입금이 완료되셨다면 해당 거래소에서 USDT 테더 코인USDC와 같은 가상화폐를 얻을 수 있습니다.

얻은 테더 코인은 리플 혹은 트론을 매수하셔서 다시 국내 거래소로 입금하시면 되고, 현금화하시면 되겠습니다.

코인 상폐빔

코인 상폐되면 상폐빔이 발생할 수도 있고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상폐빔이 발생하는 이유는 특정 코인 사재기 업체나, 또 다른 기회를 위해 개인이 대량 매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장외 사재기 거래

일반적으로 아무런 근본이 없는 가상화폐를 발행하고, 가상화폐 브랜드를 키우는 동시에 거래소에 상장시키기 위해서는 꽤 많은 투자 비용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빗썸이나 업비트와 같은 대형 국내 거래소에 상폐된 코인들은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는 코인이며, 해외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코인을 매우 저렴한 가격에 매수해서, 불특정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대면 판매 영업을 시도합니다.

하나의 예시로 ‘국내 거래소에는 상폐되었지만, 다시 한번 상장될 가능성이 있다. 상장되면 무조건 최소 몇 배이상 갈 것이다. 또, 현재 해외 코인 거래소에서는 얼마에 거래되고 있으며, 더 저렴한 가격에 직접 구매할 수 있다‘는 식으로 영업을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 흐름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은 통하지 않는 영업이지만, 나이가 많거나 어르신 분들 잘 모르시는 분들이 당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있습니다.

타 거래소에서 시세 차익을 위해

특정 A 거래소에서는 10원에 거래되고 있고, 상폐가격이 1원까지 떨어질 경우 시세 차익을 위해 매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대량이 아닌 소량 정도를 개인 투자자가 구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한 둘이 아니고 여러명이 될 수 있으며, 한 순간에 많은 매수거래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폐빔으로 오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집

다른 거래소에서도 거래가 되고 있는 경우라면 상폐 코인을 최저점에 매수하여, 나중에 시세가 상승할 때까지 존버 수집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장 시세 차익을 노리지는 않지만, 해외 거래소에서도 시세 상승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승할 떄까지 무조건 존버하는 경우입니다.

개미털기

개미 투자자들의 자산을 털어먹기 위해 악의적으로 시세를 상승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투자 업체가 될 수도 있고, 자본력이 꽤 되는 개인이 될 수 있습니다.

거래량이 없는 코인들은 약간의 자본력으로도 시세 상승 시키기가 쉽기도 합니다. 그럴싸하게 시세 상승을 시켜놓으면, 불나방 투자자들이 한 순간에 몰려듬으로써 더 많은 시세상승이 발생합니다. 이 때 저점에서 매수한 특정 업체 혹은 개인은 목표로 한 고점에 도달했을 경우, 매수했던 물량을 분할해서 던짐으로써 시세차익을 노립니다.

불나방

여러분들의 자산이 소중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절대로 상폐코인에 불나방처럼 진입하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상폐 코인들이 전고점을 뛰어넘은 가상화폐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몇 년이 걸릴지도 모르며, 최악의 경우는 최소 -90%이상 찍힐 수도 있기 때문에 한 순간의 수익 유혹 때문에 금쪽같은 내 돈을 낭비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코인 상폐 기준

사실상, 코인 상폐 기준은 각 거래소마다 정책 기준 정도가 다르고, 상폐 판단 정도가 다 다르기 때문에 확실한 기준이 없다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 의해 코인 상폐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 루나/테라와 같은 급격한 코인 시세 하락의 대한 사회적 이슈가 발생한 경우 (뱅크런 포함, 상장 유출 정보 사회적 이슈 등)
  2. 코인 기업이 정상적으로 운영하는지, 아닌지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3. 메이저 코인일지라도, 거래량이 나오지 않을 경우
  4. 거래소와 코인 기업 간에 마찰이 발생한 경우
  5. 해킹 사건 및 기술적 문제에 의해 더 이상 운영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어찌 됐든, 코인 기업에 있어서는 거래소가 갑이며, 코인 팀은 을이기 때문에 거래소는 언제든지 특정 코인을 마음대로 상폐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계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코인 상폐 후 재상장 가능성

코인 상폐되면 재상장 가능성을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사실상 재상장 시켜주는 것도 거래소 재량이며, 빗썸과 업비트 같은 빡세게 운영하는 거래소의 경우는 재상장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일부 특별한 암호화폐인 경우는 다음 처럼 재상장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데 여러분들도 잘 알고 있는 리플이나 에이다 솔라나 등 정도가 있습니다.

  • 리플은 미국 SEC 소송으로 여러 거래소에서 거래 중단되었다가 2023년 7월 미국 법원의 판결로 XRP의 증권성이 일부 부정되자 분위기가 반전되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법원 판결 직후 XRP의 거래 재개 방침을 밝혔고, 충분한 유동성이 확보되는 대로 XRP 거래를 재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규제와 무관하게 거래소의 사업 전략이나 이용자 수요 변화로 재상장이 이뤄지기도 합니다. 2024년 11월, 로빈후드(Robinhood)는 한때 상폐했던 솔라나(SOL), 카르다노(ADA), 리플(XRP) 등을 자사 미국 플랫폼에 재상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실제 해외 코인 상장폐지 5가지 사례

5가지 외에도 너무 많은 코인들이 상폐와 재상장을 진행하고 있지만, 대표적으로 유명한 코인들을 아래에서 몇 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테라 (LUNA) 폭락 사태

2022년 5월 테라USD(UST)의 급격한 디페깅과 LUNA 가격 99% 폭락으로 인해 여러 거래소들이 해당 코인을 상장폐지하거나 거래를 중단했습니다.

예를 들어, OKX는 LUNA와 UST 마켓을 닫았고, 바이낸스도 자사 스테이블코인 마켓에서 LUNA/UST 거래를 일시 중단했습니다.

바이낸스 CEO인 자오창펑(CZ)은 당시 테라 프로토콜 설계상의 결함으로 LUNA가 기하급수적으로 신규 발행되었고, 일부 사용자들이 이를 인지하지 못한 채 매수했다. 이러한 중대한 위험 때문에 거래를 중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이뤄진 긴급 상장폐지 조치의 한 사례입니다.

코인베이스의 토큰 업그레이드 상폐

    미국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는 정기 리뷰를 통해 기준에 미달하는 자산을 상장폐지하는데, 2025년 6월에는 헬륨모바일(MOBILE), 렌더(RNDR), 리본파이낸스(RBN), 시냅스(SYN) 등 4종의 토큰 거래 지원을 종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해당 토큰들은 업그레이드된 신규 토큰 버전이 출시되어 기존 버전이 상장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된 사례로서, 더 이상 기술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구버전 토큰이기 때문에 상장폐지되는 경우입니다.

    코인베이스는 이처럼 프로젝트의 기술적 변화나 토큰 교체 상황도 고려하여 지원 중단을 결정합니다.

    바이낸스의 주기적 검토 결과 상폐

      전 세계 1위 거래소 바이낸스는 정기적인 상장 종합평가를 통해 기준 미달 토큰을 자체적으로 상장폐지합니다. 2025년 2월 바이낸스는 에어다오(AMB), 클로버파이낸스(CLV), 스톰엑스(STMX), 바이트(VITE) 등 여러 알트코인의 거래 지원을 종료한다고 공지했는데, 이는 해당 코인들이 내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정기검토 결과에 따른 결정입니다.

      또한, 코인이나 토큰이 이러한 기준을 더 이상 충족하지 못하거나 업체의 무언가의 변화가 생기면 추가 심사를 거쳐 상장폐지를 검토한다”고 밝힌 적도 있었습니다.

      실제로 해당 공지 직후 해당 코인들의 시세가 급락하는 등 시장에 영향을 주기도 했습니다.

      미국 규제 이슈로 인한 상폐

        2023년 6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카르다노(ADA), 솔라나(SOL), 폴리곤(MATIC) 등과 같은 가상자산을 을 미등록 증권으로 지목하자, 미국 투자앱 로빈후드(Robinhood)는 이들 코인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로빈후드는 2023년 6월 27일부로 ADA, SOL, MATIC 거래를 종료하며, 해당 결정은 내부 검토 및 SEC 조치에 따른 것임을 밝혔습니다.

        이처럼 규제 기관의 법적 분류나 제재로 인해 거래소가 특정 코인을 상장폐지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미국 외 지역에서도 규제 압박으로 프라이버시 코인들이 상폐되는 등 유사 사례가 있습니다.)

        법규 준수를 위한 스테이블코인 상폐

          2024년 EU에서 가상자산 규제법안 MiCA가 통과되면서, 크라켄(Kraken) 등 글로벌 거래소들은 유럽 이용자 대상 서비스 조정에 나섰습니다.

          크라켄은 2025년 3월 말까지 유럽경제지역(EEA)에서 테더(USDT)를 비롯한 5종의 스테이블코인 거래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EU의 새로운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입니다. 이처럼 거래소가 법적 요건 충족을 위해 특정 코인을 지원 종료(상장폐지)하는 일도 발생합니다.

            해외 주요 거래소들의 상장폐지 기준 비교

            대표적으로 바이낸스의 경우, 상장 후에도 프로젝트의 팀 역량과 지속적인 개발 활동, 거래량과 유동성, 네트워크 보안, 커뮤니티 소통과 투명성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합니다.

            이러한 평가 항목에 대해 정기 실사 요청에 대한 대응, 부정행위나 과실 여부, 신규 규제 준수, 토큰 공급 구조의 중대한 변경, 프로젝트 경영진 변화, 커뮤니티 평판 등까지 폭넓게 고려하는 것으로 명시돼 있습니다.

            요약하면, 개발팀의 성실성, 기술 개발 현황, 거래 활성도, 보안과 사업의 안정성, 투자자와의 소통 및 투명성, 법규 준수 여부 등 여러 요소를 충족해야 상장이 유지되고, 어느 하나라도 중단 했을 경우 상장폐지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한편 코인베이스도 유사하게 상장 자산을 정기 점검하며, 프로젝트의 변화에 따라 지원 여부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것처럼 토큰의 기술 업그레이드나 체인 이전으로 기존 버전의 효용성이 떨어진 경우, 코인베이스는 구버전 토큰을 상장폐지하고 새 버전을 지원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또한 법적 이슈나 유동성 부족 등으로 기준에 못 미칠 때는 상장 유지가 어렵다는 입장을 보여왔습니다.

            크라켄(Kraken) 역시 상장 프로젝트의 시장 건전성을 중요시합니다. 거래 활성도 저조나 부정적 사태 발생 등 지속적인 성과 부진 또는 부정적 전개가 있을 경우 상장폐지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다른 대형 거래소들과 마찬가지로 법적 준수, 보안, 팀 투명성, 시장 수요 등을 종합 평가하여 상장 여부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결국 대형 거래소들은 상장했다고 영구적으로 상장되는건 아니며, 초기 상장 후에도 엄격한 기준 만족 여부를 지속 감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코인 상폐되면 어떻게 되는지 다양한 내용들의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사실상, 코인 상폐되면 해당 거래소에서 다시 거래할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기 때문에 마음 편하게 다른 거래소로 출금하시고, 입금한 거래소에서 해당 코인을 거래하시는게 가장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 많은 코인 수익이 발생하시길 바라면서 이번 포스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광고 (advertisements)

            거래소 비트겟 빙엑스 MEXC 바이비트
            수수료 0.02%, 0.04% 0.045% 0% 0.01% 0.02%, 0.055%
            순위 3위 5위 7위 2위
            추천도 가장 압도적으로 추천! (5/5) (5/4.5) (5/4) (5/4.5)
            언어 영어 영어 한국어 영어
            할인 50% 50% 10% 20%
            대상 단타, 스캘핑에 최적 독특한 복사거래 다양한 암호화폐 유튜버가 추천하는 곳
            가입하기 가입하기 가입하기 가입하기

            공유하기

            여유로운 사람의 코인 블로그
            여유로운 사람의 코인 블로그https://lifeblog.co.kr
            여유로운 사람의 블로그의 비트코인 선물거래와 암호화폐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여유로운 사람의 블로그 운영진 경력 바이낸스 선물거래소 3년차 이용 경력 비트겟 선물거래소 2년차 이용 경력 비트겟 거래소 전문 인플루언서로 활동 중 과거 암호화폐 거래소 및 토큰 프로젝트 실행 경력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오늘의 인기 포스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카카오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트위터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