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코노미 (biconomy) 거래소 전체 리뷰

우리나라의 업xx나 빗x과 같이 특정 국가에서 정식으로 허가 받아, 투명성을 공개하며 운영되는 몇몇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존재하는 동시에 세이셸 등과 같은 외딴섬에 법인을 등록하고 실체를 알 수 없는 곳들이 여럿 있으나 비코노미는 캐나다를 대표하는 거래소 중 한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번 포스트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비코노미 (Biconomy) 거래소란?

2019년에 설립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코노미는 캐나다 정부로부터 정식으로 허가 받은 거래소로 알려져 있는데, 이의 대해서는 아래에서도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현재 본사는 글로벌 운영을 위해 여러 국가에 지사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설립자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드미트리 셸루드코(Dmitriy Sheludko)로, 그는 2019년 거래소 설립 이래 최고경영자(CEO)를 맡아왔다.

공식 소개 페이지의 따르면 빠르게 성장하여 전 세계 1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180여 개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250개가 넘는 다양한 암호화폐 종목과 수백 개의 거래쌍을 지원하여 거래량 기준 글로벌 중상위권 거래소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고 한다.

과연 캐나다 공식 기반의 거래소일까?

여러차례 말하지만 해당 거래소가 특정 국가에서 정식 허가 받은지 확인하려면 법정화폐 지원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 예를 들어, 바낸은 USD, BRL이나 HKD 등의 홍콩, 브라질, 미국 달러 등의 다양한 법정 화폐 거래를 지원하고, 이의 따른 실제 은행 계좌를 연동하여 입출금이 가능하다. 이는 각국으로 부터 합법적인 영업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또한, 캐나다 달러의 심볼 표기법은 USDCAD인데, 비코노미에 접속하고 여기저기 아무리 찾아봐도 도저히 거래 쌍 페어를 찾아볼 수 없었으며, 이 외에도 다른 법정화폐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아서는 그 어떤 국가에서도 완전히 정식 허가를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필자가 내린 결론은 캐나다에서 공식으로 허가 받은 곳이 아닌, 회사 등록 없이 운영되거나 외딴섬 (세이셸) 등의 유령 법인으로 운영되는 곳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암호화폐 서비스 별 특징

  • 현물 거래, 선물 거래, 스테이킹, 런치패드, 법정화폐 입출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은 갖추어져 있음
비코노미 (biconomy) 거래소 전체 리뷰

개인적인 입장으로는 대부분의 거래소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비코노미 만의 매력 포인트를 느끼지 못했으나, 현재 준비 중인 AI 거래 상품이 출시된다면 지금보다는 국내에서의 주목도가 상승할 것 같긴 한데, 우선 해당 상품 리뷰부터 살펴보도록하자.

비코노미의 AI 거래 상품

X (트위터)의 암호화폐 뉴스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실시간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자동화된 AI 거래를 지원할 예정인데, 초기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위 몇개의 코인들 부터 시행된다고 한다.

비코노미 AI 트레이딩

공식 페이지를 살펴봤으나 조금 늦은 감이 있지 않나 싶다. 이미 비트겟 거래소의 경우는 암호화폐 뉴스 분석 등을 고려한 AI의 스마트 트레이딩과 트레이딩뷰의 매수와 매도 신호의 따른 시그널 봇 거래 등을 지원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스캘핑이나 UI, 서비스 등의 측면에 있어서 아주 강력하게 추천하고 싶고, 누구나 할인이 가능하니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도록 하자!

뿐 만 아니라 바이낸스나 바이비트도 진작 예전부터 출시한 거래이기도 하다. 가장 최신에 나온다고 해서, 비코노미가 얘네들보다 더 좋은 거래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까 싶기도 하다.

현물과 선물 거래의 편의성

그럼, 이용자 입장에서는 거래하기에 과연 좋은 UI로 갖추어져 있을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차트를 크게 보면서 매매하는 사람들이 있으면서도 빠른 단타를 위한 원클릭 버튼 등의 편의성을 생각하는 여러 유형들이 있을텐데 한번 현물이나 선물거래의 인터페이스를 확인해보도록 하자.

비코노미의 선물과 현물거래의 UI

두 가지 모두 동일한 UI로 설계되었다. 위 이미지는 비코노미의 선물거래 PC UI인데, 맨좌측에 코인 검색창이 있다 보니, 거래 화면이 더 좁아진 느낌이 크다. 그렇다고 해서 다른 곳들처럼 차트 등의 각각의 레이아웃을 자유자재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보니, 큰 차트를 원하는 사람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다.

거래 기능

또한, 거래 기능에서도 조건부 조건 등과 같은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단순히 tp/sl을 포함한 지정가와 시장가로만 최대 200배 레버리지까지 거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물론 현물거래도 마찬가지다.

또한, 선물 시장을 활용한 모의 트레이딩이나 카피트레이딩 같은 것도 지원한다고 하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코인 이자 상품

스테이킹이나 듀얼 인베스트먼트 등의 디파이의 파생 종류는 존재하지 않으며 Earn이라는 간단한 이자 상품만 제공된다.

비코노미 예치

다른 곳들과의 차이점은 1도 없으나 자유 예금 이자가 무려 APR 6%나 쳐준다는 것이다. 이게 얼마나 높은지 체감이 안될 수 있는데 보통 대부분 상위 거래소들은 예치하는 자산이 많아질수록 평균 3~4% 정도 수준으로 제공하지만, 비코노미는 이자를 무려 50%나 넘게 더 준다는 의미다.

사실상, 거래소의 실제 보유 자산 (준비금 증명이라고도 함)이 적을수록 이용자들의 예치금이 많아져야 할 수 밖에 없다. 그럴려면 APR을 높게 설정해서 사람들의 자산을 끌어모아야 되지만, 나중에 잘못된 운영에 의해 파산 확률이 올라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장 리스팅과 런치패드

신규 유망 프로젝트의 토큰 판매나 상장 투표를 진행하는 런치패드 플랫폼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유망한 초기 단계의 코인에 선점 투자하거나, 킥스타터 프로그램을 통해 충분한 사용자 관심을 얻은 프로젝트의 토큰을 에어드롭 형태로 받을 기회를 얻는다. 비코노미의 런치패드에서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해당 코인이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할 수 있게 된다.

이 외 기타 서비스들

비코노미는 이 밖에도 NFT 마켓플레이스(대체불가능토큰 거래 지원), OTC 장외거래(대량 거래를 위한 별도 창구)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자체 플랫폼 내 벤처 투자 및 Labs를 통해 유망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투자하거나 인큐베이팅을 진행하기도 한다. 또한 신용카드/은행 이체를 통한 암호화폐 구매 지원(써드파티 결제 연동)으로 신규 사용자가 쉽게 암호화폐를 구입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나 원화 결제는 불가능하다.

비코노미의 BIT 토큰

BIT 토큰은 Binance의 BNB, Huobi의 HT처럼 거래소 토큰의 일종이며,​ 2019년 초기에 발행된 BIT는 총 1조 개로 시작했으나, 이후 소각 진행을 통해 전체 공급량이 빠르게 줄여가고 있다.​ 또한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SC)을 기반으로 한 BEP-20 토큰이나, 솔라나 체인에서도 이용이 가능한 멀티체인 기능을 지원한다.​

BIT 토큰의 가장 큰 특징은 버닝 택스 (수수료 소각) 방식이라는 점인데, BIT를 BSC 체인에서 전송할 때마다 6%의 수수료가 부과되어 자동 소각 및 보상에 쓰이는 구조이다​. 이 중 일부는 즉시 소각되고 일부는 누적되었다가 BIT 보유자들에게 분기마다 USDT로 에어드롭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거래소의 매출 중에서 일정 부분을 매 분기마다 BIT 토큰 매입과 소각까지 진행하고 있어, 추후 성장하기만 한다면 지금보다 가치는 무조건 올라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 현재 BIT 토큰으로 활용 가능한 사용처

월간 VIP 수수료 할인 패키지를 구매함으로써 거래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일정 수량 이상 보유 시 기본 수수료 할인 혜택도 주어진다. 또한, 분기별 수익 환원 정책에 따른 USDT 보상 등 각종 보너스가 주어지고, 신규 상장 투표나 이벤트에 우선 참여할 수 있는 권리도 부여된다​

예를 들어 BIT를 스테이킹하면 신규 프로젝트 토큰을 에어드롭받거나 런치패드 판매에 선구매권을 얻는 식으로 활용된다. 이렇듯 BIT 토큰은 거래소 생태계의 인센티브 허브로 기능하며, 사용자들에게는 단순한 투자 자산을 넘어 거래소의 성장에 따른 공동 이익을 누릴 수 있는 수단이 되고 있다​.

보안 정도와 KYC 레벨별 조건

현재까지는 크게 알려진 해킹 사고가 발생한 적은 없었으며, 보안 측면에서 멀티시그 콜드월렛이란 다중 서명 방식의 인증 지갑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자산을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팩트 체크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부분 규모가 작은 거래소는 콜드월렛 안쓰고 핫월렛 (온라인 지갑)이 많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 계정을 보호하기 위한 2단계 인증(2FA), 안티피싱 코드, 출금주소 화이트리스트 등의 표준적인 계정 보안 기능을 모두 지원하여 사용자 계정 도용이나 부정 출금을 방지하고 있다.

비코노미 KYC

KYC는 미인증과 레벨2와 레벨3까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인증 시 최대 0.05BTC까지만 허용하고 있다. 거래량 한도도 제한하고 있는데, 아직은 KYC 강제가 없는 곳 중 하나다.

사용자 리뷰 및 신뢰도

사용자 리뷰

29db359b 138a 40f2 98e5 39859c9f9eb4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자 리뷰의 긍정/부정 비율을 나타낸 원형 차트이며 전체 평가 중 약 30%만이 긍정적이며, 70% 정도는 부정적인 의견을 보여준다.

레딧이나 트위터 등의 커뮤니티와 리뷰 사이트 등을 살펴보면, 긍정적인 평가로는 비코노미의 낮은 수수료 구조, 다양한 알트코인 상장 그리고 친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기본적인 장점으로 꼽는 경우가 많다. 특히 다른 대형 거래소보다 신규 코인(특히 밈코인)의 상장이 빠르고 이벤트나 에어드롭 등 프로모션 보상도 풍부하다는 점에서 적극 호평하는 이용자들이 있다. 또한 입출금 처리 속도가 빠르고 고객지원 응대가 신속하다는 긍정 후기들도 찾아볼 수 있다.

반면 부정적인 리뷰에서는 거래소에 대한 신뢰성 부족과 일부 출금 지연 이슈가 지적된다. 몇몇 사용자는 비코노미에서 계정이 동결되거나 출금이 원활히 되지 않았다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사례들은 주로 대규모 자금 출금 시 추가 KYC 요구나 위험 거래 감지 혹은 거래소 먹튀 사기 추측 등의 여러 추측된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부정적인 의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나, 소액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 싶다!

비코노미 거래소의 모든 수수료

비쿠노미 수수료 그 자체적으로는 그렇게 큰 메리트는 가지고 있지 않은데 왜냐하면, 현물은 시장가 지정가 각각 0.2%씩, 선물거래는 0.02%와 0.05%로 운영되며, 업비트보다 약 4배 정도 비싼 수수료를 내야하기 때문이다. 선물거래 수수료 또한 다른 곳들보다 시장가가 0.01% 정도 높기도 하다.

여기서 자체 토큰인 BIT를 보유한 경우 수수료 할인이 적용되는데 현물은 메이커 0.1% 이하, 테이커 0.1% 이하까지도 낮출 수 있으며, 선물거래 또한 메이커 0.01%대, 테이커 0.05% 내외의 수수료율로 적용할 수 있다.

  • 사실상, 토큰을 구매해도 그렇게 썩 좋은 조건은 아니며 큰 규모의 거래소도 아니다 보니 수수료 혜택도 그렇게 큰 편은 아니다.

이 외의 부가적인 수수료는 다음과 같다.

입금무료
출금각 코인 네트워크 수수료만 부과 (플랫폼 추가 수수료 없음)
법정화폐를 통한 암호화폐 구매신용카드 결제 등 제휴 서비스 수수료 (거래소 자체 수수료 없음)
P2P수수료 제로

비코노미 vs 주요 글로벌 거래소 비교 분석

다음은 국내에서 인기 있는 곳들과 비코노미 간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해보는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자.

설립 연도와 배경

비코노미2019년
Bitget2018년
MEXC2018년
Binance2017년
Kraken2011년
Coinbase2012년

Bitget (비트겟)

2018년에 설립된 거래소로, 설립 팀은 전통 금융권 출신이며 싱가포르에서 시작하여 이후 세이셸 등에 기반을 두고 성장하였다​. Bitget은 설립 첫 해부터 카피트레이딩 기능을 내세워 빠르게 규모를 키웠으며, 150여 개국에서 수천만 사용자를 확보했다고 주장한다. 현재는 Cayman/Seychelles 등지에 등록되어 있고, 글로벌 파생상품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운 거래소로 평가된다.

MEXC (멕스씨)

2018년에 아시아권에서 출범한 거래소로, 본사는 세이셸에 위치한다.​ Sheen Xin Hu 등이 공동 설립했으며, 2021년 기존 명칭 MXC에서 MEXC로 리브랜딩하였다​ 알트코인 조기 상장에 적극적이어서 신생 코인을 대거 취급하며 성장했으며, 170여개국에 3000만 이상 이용자를 보유한 글로벌 플랫폼으로 발돋움했다​

바이낸스 (Binance)

2017년 중국에서 창펑 자오(CZ)에 의해 설립된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설립 후 불과 6개월 만에 업계 1위로 급부상할 정도로 성장 속도가 빨랐으며, 현재는 공식적으로 카이만제도 등에 법인을 두고 전세계에 지사를 운영한다​ 초기에는 중국, 일본 등을 거쳐 “본사 없는” 글로벌 기업을 표방했고, 현재도 가장 많은 거래량과 이용자 수(1억 이상)를 가진 거래소로 꼽힌다.

크라켄 (Kraken)

2011년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Jesse Powell 등이 설립한, 역사적으로 오래된 거래소이다​ 2013년 정식으로 거래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Payward Inc. 산하에서 운영된다. Mt.Gox 해킹 사건 이후 보안을 최우선시하는 대안을 표방하며 등장했고, 유럽 시장을 기반으로 성장하다가 전세계로 확장하였다​ 랜 업력과 보수적인 운영으로 미국/유럽에서 신뢰도가 높은 편이다.

코인베이스 (Coinbase)

2012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브라이언 암스트롱과 Fred Ehrsam에 의해 설립된 거래소로, 암호화폐 업계의 정석으로 불릴 만큼 규제 준수와 대중적 이미지가 강점이다​

미국 최초의 대형 거래소로서 초창기부터 사용성이 뛰어나 개인 투자자층을 넓혔고, 2021년에는 미국 증시에 상장(나스닥: COIN)하여 기업 투명성을 입증하였다. 전세계 100여 개국에 걸쳐 1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미국 대표 거래소이다​

제공 서비스 종류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비코노미 뿐 만 아니라, 이 외의 거래소도 아래의 테이블과 같이 기본적인 기능들 모두 지원한다.

서비스 분야비코노미BitgetMEXCBinanceKrakenCoinbase
현물 거래
선물 거래✔ (제한적)✖ (기관 제한)
마진/레버리지일부(제한)
복사매매 (Copy Trading)✔ (주력)✔ (전문가 OTC)
스테이킹/Earn✔ (미국제한)✔ (미국제한)
런치패드/토큰세일✔ (Kickstarter)✔ (Launchpad)✔ (Launchpad)✔ (Launchpad)
레버리지 ETF
NFT 마켓플레이스✖ (중단)
P2P 법정통화 거래

자체 토큰 및 유틸리티

아래와 같이 자체적인 거래소 토큰을 지원하는 곳들이 있는 반면에 아닌 곳들도 있다. 공통점으로는 코베나 크라켄 같이 미국의 찐 거래소들은 미국의 직접적으로 법적인 규제를 받으며, 증권법 때문에 자체 발행된 코인은 존재하지 않으며 이 외는 대부분이 발행된 상황이다.

거래소자체 토큰 (심볼)발행 연도
비코노미BIT2021년
BitgetBGB2020년
MEXCMX2019년
BinanceBNB2017년
Kraken(없음)
Coinbase(없음)

마치며

지금까지 비코노미 거래소의 대해서 자세한 리뷰를 해봤으나, 역시 특별한 이유가 있는게 아닌 이상은 기존에 이용하는 곳을 계속 사용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다.

광고 (advertisements)

거래소 비트겟 빙엑스 MEXC 바이비트
수수료 0.02%, 0.04% 0.045% 0% 0.01% 0.02%, 0.055%
순위 3위 5위 7위 2위
추천도 가장 압도적으로 추천! (5/5) (5/4.5) (5/4) (5/4.5)
언어 영어 영어 한국어 영어
할인 50% 50% 10% 20%
대상 단타, 스캘핑에 최적 독특한 복사거래 다양한 암호화폐 유튜버가 추천하는 곳
가입하기 가입하기 가입하기 가입하기

공유하기

여유로운 사람의 코인 블로그
여유로운 사람의 코인 블로그https://lifeblog.co.kr
여유로운 사람의 블로그의 비트코인 선물거래와 암호화폐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여유로운 사람의 블로그 운영진 경력 바이낸스 선물거래소 3년차 이용 경력 비트겟 선물거래소 2년차 이용 경력 비트겟 거래소 전문 인플루언서로 활동 중 과거 암호화폐 거래소 및 토큰 프로젝트 실행 경력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오늘의 인기 포스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카카오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트위터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