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라이트세일 요금

aws 라이트세일 인스턴스에는 총 7가지의 요금들이 있습니다. 요금은 서버의 성능을 기준으로해서 월금액이 책정되는데요. 한화가 아닌, 달러로 달마다 자동이체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예를들어 5.0$인 경우는 5달러이니까, 달마다 내 계좌에서 약 5.500원정도 빠져나가게 됩니다. 1년 총합 요금으로는 66000원 수준이네요.
어떤 aws 라이트세일 요금 정액제를 선택해야될까?
워드프레스이든, 그누보드던, 웹서비스를 이제 막 처음시작하는 분들이라면 제일 낮은 성능등급인 3.5달러짜리 서버(첫 달 무료!)로 선택해서 운영하셔도 괜찮습니다. 왜냐하면, 처음부터 많은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기떄문입니다.
그리고, 제일 낮은 옵션을 선택하셨다고 해도, 추후에 다른 요금제로 바꿀 수있으니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반대로,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등 외부 SNS에서 많은 트래픽을 유입할 예정이신 경우라면, 트래픽 양의 따라 제일 낮은 요금의 서버의 경우가 부적합할 수있습니다.
이에 해당하시는 분들 중, 어느정도의 방문자를 끌어모으시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만약 그럴 예정이시라면 한단계 높은 5달러짜리로 선택하시는 쪽을 추천드립니다. (약 5천명정도 기준)
aws 라이트세일 성능

위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일일 5천명에서 만명정도 방문자가 유입될 예정이시라면, 램1기가 서버가 적당합니다. 그게 아니시라면, 램512메가 서버로도 왠만하면 전부 커버됩니다. (개인 블로그 기준입니다.) 하지만, 4만명 10만명 일일 방문자가 이정도 되신다면, 그 1기가 초과하는 서버로 선택하시는 쪽이 맞습니다.
그리고, 용량이 큰 파일을 업로드하는 웹사이트를 운영할 예정이시라면, 하드디스크 용량을 잘 확인하셔야 되는데요. 20기가바이트 기준으로, 한단계씩 상승하고 있는데, 제일 낮은 성능의 경우는 1기가짜리 파일 20개만 올려도 금방 꽉 차버리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하드디스크 용량 추가옵션

또한, 추후에 하드디스크 용량 추가옵션을 이용할 수있습니다. 8기가는 매달 약1천원씩, 256기가바이트의 경우는 한달에 약28000원정도입니다. 더 많은 용량의 경우는 사용자 지정 서비스를 통해서 추가하실 수있습니다.
이상,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재미있는 웹사이트 운영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