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겟 하는법 4가지 및 카피트레이딩 설정하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비트겟 (Bitget) 하는법의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겟 하는법은 카피트레이딩과 선물거래, 모의투자, 현물거래 총 4가지의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비트겟 거래소는 이제 더 이상 한국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영문 서비스로 이용하셔야 합니다. 영어가 불편하신 분들은 비트겟 가입 포스트를 참고하시면, 한국어 설정하는 방법의 대해서 내용확인이 가능합니다.
비트겟 하는법 내용을 알아보시기 전에 수수료 할인이 적용되지 않은 느낌이 있으시다면, 레퍼럴을 통해 가입하지 않으신 것입니다. 만약, 그러한 분들이 계신다면, 비트겟 레퍼럴 변경 포스트를 통해 추천인을 새로 넣으시거나, 수수료 50% 할인 적용이 가능합니다. 이용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어 지원 하고있는 주멕스 거래소 참고해보기
비트겟 하는법 4가지
- 카피트레이딩 하는법
- 모의투자 하는 방법
- 선물거래 방법
- 현물거래 방법
카피트레이딩 하는법
비트겟 카피트레이딩 하는법은 예전에 비해 매우 단순화 되었으며, 몇 번의 클릭만으로 카피트레이드를 빠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비트겟 카피트레이딩 메뉴는 상단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트겟 카피트레이딩 설정하시기 전에 어떤 트레이더를 팔로우하실지부터 고르셔야합니다. 원하는 트레이더를 발견하셨다면, 팔로우 버튼을 눌러주세요.
비트겟 카피트레이딩 설정 페이지입니다. 여기서 다양한 거래 페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TCUSDT, ETHUSDT만 활성화하시면, 트레이더가 BTCUSDT, ETHUSDT 거래를 시작해야 카피트레이딩 매매가 시작됩니다.
모든 페어를 활성화 하시면, 트레이더의 모든 거래를 따라간다는 의미입니다. 트레이더의 거래 페어 스타일부터 확인하시고, 적절한 페어를 설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얼마만큼의 금액으로 따라갈 것인지 설정하는 칸입니다. 100USDT를 입력하시면, 100USDT 만큼의 선물 카피트레이딩 거래가 시작됩니다.
이는 모든 거래에 동일하게 적용되시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BTCUSDT, ETHUSDT를 활성화시켰으며, 100USDT로 설정하시면, 각각 100USDT 거래가 시작된다는 의미입니다.
다음은 스탑로스와 테이크프로핏 (TP/SL) 및 최대 팔로우 한도금액을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스탑로스는 손절 예약가, 테이크프로핏은 수익 예약가라는 의미입니다.
스탑로스는 20%로 설정하시면 손실 20%로 보고있을 때 트레이더 거래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매매가 되는 기능입니다. 마찬가지로, 테이크프로핏 30%로 해놓으시면 트레이더와 관계없이 30% 수익 후 자동매도가 됩니다. 최대 팔로우 금액은 트레이더의 모든 거래에 얼만큼의 최대 금액을 따라갈 것인지 설정하는 칸입니다.
카피트레이딩 설정이 굉장히 단순해졌기 때문에 이 것만 하면 끝입니다. 활성화되면 카피트레이드 데이터 페이지에서 주문 내역을 확인할 수있습니다.
비트겟 카피트레이딩 수수료는?
한글판 바이비트, 주멕스 거래소 알아보기
모의투자 하는 방법
비트겟 모의투자 하는법은 비트겟 선물거래 하는법과 거의 100% 동일합니다. 본격적인 선물거래를 시작하시기 전에 모의투자부터 해보시면, 여러모로 도움되실 수 있습니다. 비트겟 모의투자는 바이낸스 및 바이비트 테스트넷과 동일한 기능입니다. (참고로 비트겟 모의투자는 비트겟 데스크톱 홈페이지에서만 이용할 수있습니다.)
비트겟 하는법 모의투자 위치는 상단 메뉴 중 USDT-DEMO를 클릭하시면 모의투자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마진모드 설정은 격리(Isolated)와 교차(Cross)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가 있지 않는 이상은 격리를 설정합니다.
레버리지 설정입니다. 롱 레버리지는 long 버튼을 클릭, 숏 레버리지는 short 버튼을 클릭하시면 각 포지션의 레버리지 값을 입력할 수있습니다.
지정가 시장가 트리거 주문 등을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Limit(지정가)와 Market(시장가)은 현물 지정가 시장가 입력 방식과 동일합니다.
스탑로스와 테이크프로핏을 설정하는 값입니다. 비트겟 카피트레이딩 하는법에서 말씀드렸다 싶이, 수익실현 및 손절가를 미리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코인 USDT 시세값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GTC와 FOK, IOC 주문 옵션 설정입니다. 코인 선물거래 이해하기 포스트를 참고하시면, 선물용어의 전반적인 모든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롱 레버리지 10배, 시세와 수량을 설정하고, 롱 매수 버튼을 누르시면 선물거래 주문이 시작됩니다. 주문 즉시 체결을 원하시는 분들은 시장가 (Market)으로 주문을 넣으시면 즉시 체결되지만, 지정가 보다 더 비싼 금액으로 체결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래에 Open Orders 탭을 보시면, 예비 주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문을 잘못넣었다고 생각되시면, 바로 우측에 있는 캔슬 (Cancel) 버튼을 재빠르게 눌러주시면 됩니다.
주문이 체결되면 포지션(Position) 탭에서 활성화된 내 주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코인 수량은 얼마나 되는지, 청산가 (주문 강제 종료가)도 자세한 가격을 확인할 수 있기도 합니다.
또, 스탑로스와 테이크프로핏 마저 설정하지 못했던 부분의 대해서도, 우측 상단 메뉴를 클릭하시면 설정도 할 수있습니다.
마이너스 지정가 수수료 페멕스 거래소 알아보기
선물거래 방법
비트겟 선물거래 하는법은 위 포스트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물 페이지에 나와있는 각 기능과 버튼들의 전반적으로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였으니, 이용 전 참고하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혹시나, 선물거래 자체를 단 한번도 안해보셨다면, 비트코인 선물거래 용어 포스트부터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선물거래 의미를 시작으로,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의미들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현물거래 방법
비트겟 하는법 현물거래는 일반 국내 거래소와 해외 현물거래소와 100% 동일하기 때문에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비트겟 현물거래 페이지는 상단 메뉴 중 Spot을 클릭하시면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현물거래 기능은 딱 이 2가지만 알고계시면 됩니다. 1번과 2번 내용의 대해서는 아래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 주문옵션
GTC는 가장 기본적인 주문 옵션이며, 일반적인 거래 옵션이기도 합니다. 포스트 온리 (Post-Only)를 체크하시면, 무조건 지정가로 체결하겠다는 의미입니다. IOC와 FOK는 위에서 링크드린 비트코인 선물 용어 포스트를 참고해보세요.
- 주문 설정하기
주문 설정은 단순하게 코인 시세를 입력하시고 얼마만큼의 수량을 매수할 것인지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빗썸 업비트와 100% 동일하니 크게 어려운 점은 없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비트겟 하는법의 대해서 다양하고 자세한 내용들을 알아봤습니다. 비트겟 하는법은 그렇게 어렵지 않으며, 한국인들을 위해 최적화된 UI/UX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처음에 한 두번 적응하시다보면 추후에 쉽게 거래를 하실 수있으실거라 생각합니다. 이상 이번 포스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