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다이아몬드, 브로드닝 패턴이 무엇인가요?

비트코인의 다이아몬드와 브로드닝의 두 패턴은 모양과 만들어지는 과정이 조금 독특하기 때문에 차트 상에서 한눈에 알아보기 어렵지만, 한 번 확인되면 추세 전환의 신호를 얻는데 큰 도움이 되는 패턴인데 이번 포스트에서 각 차트 별 어떤 개념인지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자.

비트코인 다이아몬드 패턴이 무엇일까?

차트 상에서 다이아몬드 형태를 그리면서 나타나는 패턴인데, 좌측에는 두 개의 추세선이 서로 벌어지다가 오른쪽으로 갈수록 다시 서로 수렴하는 모양을 만들어 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트코인 다이아몬드 패턴

위 이미지처럼 초반에는 고점이 점차 높아지고 저점은 더욱 낮아지면서 시세의 변동폭이 아주 커지는데, 중반을 지나면 고점이 차츰 낮아지면서 저점은 높아지고 변동폭이 축소된다.

이렇게 가격 변동의 범위가 커졌다 좁아지는 움직임이 이어지면 차트에 마름모 같은 형태가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여러 차례의 고점과 저점을 형성해야 한다는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점점 넓어지는 삼각형의 확산형 패턴과 점점 좁아지는 대칭 삼각형 패턴이 하나로 이어진 형태로 생각하면 된다.

아주 쉽게 말하자면, 다이아몬드의 좌측 부분에 시장 변동성이 아주 크게 발생하면서 추세의 방향성을 찾지 못하다가, 점차 변동성이 낮아지며 다이아몬드의 오른쪽 부분으로 한쪽으로 힘이 모이는 모습을 차트 위에 그려낸 것이다.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다이아몬드 탑패턴

주로 지속된 추세의 마지막 쯤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데, 예를 들어 급격한 상승장이 오랫동안 이어진 후 고점 부근에서 다이아몬드 패턴이 형성되면 이를 다이아몬드 탑이라고 부르며, 이후 하락 추세 반전을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신호를 의미한다.

다이아몬드 바텀패턴

반대로 큰 하락장 마지막 부분에 다이아몬드 패턴이 나타난다면 다이아몬드 바텀이라고 하여 상승 반전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보통 추세의 마지막 부분, 즉 불장의 끝 자락이나 과매도 마지막 부분에서 볼 수 있는 패턴이다. 비트코인을 예시로 보면, 2017년 말 고점을 찍었던 상승장의 최고점 부근에서 다이아몬드 패턴이 나타나기도 했는데, 실제로 그 이후 가격이 급격히 떨어지며 긴 약세장이 시작된 바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등락을 반복하다가 점차 진정되어가는 부분은 매수세와 매도세 간 균형이 일정하다는 의미다.

초기에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고 내리는 것은 기존 추세에 대한 시장의 방향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모습이라고 보면 되고, 이후 변동폭이 줄어드는 부분은 시장의 방향성이 서서히 하나로 모여가는 모습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브로드닝 패턴은 무엇일까?

브로드닝 패턴은 확장형 패턴이라고도 부르는데, 차트에서 점점 벌어지는 삼각형 모양을 그려나가는 것이 특징이고 마치 확성기 같은 형태를 띄는 것이 포인트다.

브로드닝 패턴

위 이미지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점은 점점 갈수록 높아지고 저점은 갈수록 낮아져 가격 변동 범위가 지속적으로 커지는 패턴이다.

위로 기울어진 추세선과 아래로 기울어진 추세선 한 쌍이 만들어지는데, 이 두 추세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서로 점점 벌어지기 때문에 좁아지는 수렴형인 삼각형 패턴과는 정반대의 구조를 가진다.

시세가 패턴 안에서 움직일 때는 고점과 저점이 이전보다 점점 크게 높아지고 낮아지며 진폭이 커지는데, 차트를 보면 마치 왼쪽이 뾰족하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나팔꽃이 퍼지듯 혹은 확성기 모양처럼 퍼져나가는 그림을 볼 수 있다.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확장형 패턴은 발생 빈도가 높지 않지만, 주로 상승 혹은 하락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부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상승 추세에서 이러한 패턴이 나오면 대개 상승장의 끝 부분이라는 신호로 볼 수 있고,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고점과 저점 폭이 커지기 시작하면, 이는 시장의 상승 추세가 불안정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더 높은 가격에서도 매수를 원하는 사람들이 있고 이런 사람들이 고점을 끌어올리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시세 하락의 불안감을 느껴 매도에 나서 저점을 더 낮추는 현상이 동시에 벌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 결과 상승폭과 하락폭 모두 커지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는 패턴이라 보면 되는데, 보통 확장형 상단 패턴이 발견되면 추세가 최고치에 이르고 있으며 추후 반전될 가능성을 고려하는 트레이더들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비트코인 뿐 만아니라 주식 등의 기초자산 시장에서도 주가지수의 장기적인 상승 끝자락 부분에서 확산형 패턴 나타난 상황들이 종종 있으며, 이를 시장 심리가 과열되고 변동성이 위험 수준으로 높아진 신호로 해석하곤 한다.

반대로 위에서 말했듯이 하락 추세의 마지막에서도 확장형 패턴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계속된 하락으로 시장 참여자들이 극도로 불안정한 심리를 보이며 가격 변동폭이 커지는 상황을 뜻한다.

마치며

지금까지 다이아몬드와 브로드닝 패턴 두 가지 종류의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는데, 추세 전환 반전에서 많이 써먹는 것들이기 때문에 알아두면 나중에 트레이딩에 어느정도 유용한 도움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또한, 다른 차트 패턴보다는 흔히 나타나는 패턴은 아니다.

광고 (advertisements)

거래소 비트겟 빙엑스 MEXC 바이비트
수수료 0.02%, 0.04% 0.045% 0% 0.01% 0.02%, 0.055%
순위 3위 5위 7위 2위
추천도 가장 압도적으로 추천! (5/5) (5/4.5) (5/4) (5/4.5)
언어 영어 영어 한국어 영어
할인 50% 50% 10% 20%
대상 단타, 스캘핑에 최적 독특한 복사거래 다양한 암호화폐 유튜버가 추천하는 곳
가입하기 가입하기 가입하기 가입하기

공유하기

여유로운 사람의 코인 블로그
여유로운 사람의 코인 블로그https://lifeblog.co.kr
여유로운 사람의 블로그의 비트코인 선물거래와 암호화폐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여유로운 사람의 블로그 운영진 경력 바이낸스 선물거래소 3년차 이용 경력 비트겟 선물거래소 2년차 이용 경력 비트겟 거래소 전문 인플루언서로 활동 중 과거 암호화폐 거래소 및 토큰 프로젝트 실행 경력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오늘의 인기 포스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카카오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트위터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