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비트의 전반적인 이용 정책을 모방하여 운영 중인 주멕스 거래소는 수수료도 서로 간에 비슷하게 부과하고 있지만, 각종 할인을 적용시키면 테이커 부분을 아주 쪼금 저렴하게 선물거래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번 포스트에서 수수료율이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주멕스 (ZOOMEX)의 모든 수수료 정리
이용자들이 주멕스에 등록한 후 특정 거래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비용을 각 아래의 문단들에서 확인해보도록 하자.
주멕스 거래의 모든 수수료
기본으로 부과되는 수수료와 30%의 할인코드로 등록한 이용자들의 수수료 차이는 다음과 같다.
비고 | 지정가 | 시장가 |
---|---|---|
기본 | 0.02% | 0.06% |
할인 | 0.014% | 0.042% |
일반적인 제3지 거래소들의 선물 수수료가 0.02%, 0.4%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0.02% 정도 높은 수준이고, 동일한 선물 레버리지 배율 대비 3분의 1만큼 더 내야 된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낮은 메이커에서 이득을 볼 수 있으나 낮은 변동성 시장에서는 원하는 가격에 빠르게 체결하기에 불리함을 가진다.
또한, 인버스 무기한 계약과 USDT 선물 시장의 모든 수수료와 할인 적용이 동일하기 때문에 그 어느 곳에서 거래해도 똑같은 비용을 지불한다.
이 내용은 한번 업데이트 된 내용인데, 과거에는 현물 거래를 지원하지 않아 이용할 수 없게 되었으나 현재는 지원하며 0.1%의 메이커 테이커 수수료를 내야 한다.
다른 곳보다 수수료가 비싼지 안비싼지 잘 모르겠어요!
그럼, 간단한 몇 가지 테이블을 참고하면 주멕스 수수료가 어느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 참고해볼 수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거래소명 | 지정가 수수료 (Maker) | 시장가 수수료 (Taker) | 방문하기 |
---|---|---|---|
Binance | 0.02% | 0.04% | 방문하기 |
Bybit | 0.02% | 0.055% | 수수료 할인 받기 |
Bitget | 0.02% | 0.04% | 수수료 할인 받기 |
OKX | 0.02% | 0.05% | 방문하기 |
MEXC | 0.00% | 0.01% | 수수료 할인 받기 |
Huobi | 0.02% | 0.05% | 방문하기 |
Zoomex | 0.02% | 0.06% | 수수료 할인 받기 |
과거에는 0.02% 및 0.04%가 국룰이었지만, 몇몇 일부의 곳들은 지정가를 0%로 하거나 더 조금 더 독특한 수수료로 운영하는 경우가 트렌드가 되었다. 주멕스는 여기서 언급된 곳들보다 조금 높은 수준의 수수료로 운영된다.
기타 추가적인 거래 플랫폼들
예를 들어, 카피트레이드나 컨버트 등과 같은 여러 기타 거래 서비스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주멕스의 시장을 활용하여 파생된 상품이기 때문에 거의 비슷한 수준의 수수료 구조로 되어 있고, 자세한건 다음 테이블과 같다.
종류 | 지정가 | 시장가 | 특징 |
---|---|---|---|
컨버트 | 0% | 0% | 한시적으로 진행 |
복사거래 | 0.02% | 0.06% | 선물의 기본, 할인 수수료와 동일하게 적용 |
여기까지가 일반적인 주멕스의 모든 거래 상품의 대한 수수료율이다. 다음은 외부적인 부분에서 얼만큼의 비용이 들어가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출금에 필요한 비용과 수수료
주멕스는 비교적 신생 거래소에 속하다 보니, 다른 오래된 곳들보다 더 높은 암호화폐 출금 비용을 부과시키고 있는데, 다음 이미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인기 있는 BTC, ETH, EOS, XRP, USDT 코인을 기준으로 각각 현 시세를 기준으로 한다면 다음과 같은 비용이 발생한다.
암호화폐 | 최소 출금 금액 | 출금 수수료 (원화) |
---|---|---|
비트코인 (BTC) | 0.001 | 47,500 원 |
이더리움 (ETH) | 0.02 | 16,000 원 |
이오스 (EOS) | 0.2 | 100 원 |
리플 (XRP) | 20 | 200 원 |
테더 (USDT, ERC20) | 20 | 13,000 원 |
테더 (USDT, TRC20) | 10 | 1,300 원 |
이는 주멕스 시장의 가격을 기준으로 책정되기 때문에 다른 곳들과 원화의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실시간 시세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이자 플랫폼들의 수수료율
현재 유동성 마이닝이라고 하는 이자 상품을 취급하고 있는데 주멕스에 상장된 특정 암호화폐의 따라서 최저 최대 APY 수수료율이 상이해진다. 보통 그나마 안정적인 변동성을 자랑하는 코인들 중 높은 연이율을 제공하는 종류로는 다음과 같다.
- 솔 (SOL) : 약 21%
- 이더리움 (ETH) : 약 22%
- 비트코인 (BTC) : 약 21%
주멕스의 유동성 자산을 지원하는 대가로 높은 연수수료율이 적용되는 만큼, 파산이나 뱅크런의 리스크도 존재할 수 있다.
마치며
지금까지 주멕스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수료들의 종류들의 대해서 자세한 내용을 살펴봤는데, 역시나 규모가 작은 곳인 만큼 경쟁성이 조금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이용하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