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계산기의 자세한 사용법
바이낸스 거래소에서는 비회원 이용자들도 이용할 수 있는 거래 계산기 도구를 통해, 암호화폐를 구매하기 전에 PNL (수익률이라고 함)과 포지션의 자세한 청산가, 물타기를 통한 평단가격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스팟 (Spot) 페이지에서는 제공하지 않으며, 오직 선물 시장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위치는 우측 이미지와 같이, 계산기처럼 생긴 아이콘을 누른다. 처음 접하면 뭐가 뭔지 모르기 때문에 이와 관련해서 자세한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수익률 계산하는 방법
현재 거래하고자 하는 순수 투자 자본금을 통해 미래의 예상 PNL 수익금과 수익률의 자세한 값을 얻을 수 있다. 레버리지 별로 자세한 값이 계산되기는 하나, 거래 비용을 포함하지 않아 실제로 받는 수익률의 미세한 차이가 존재한다.

Quantity는 레버리지가 포함된 수량이며 1BTC 당 Entry Price (진입가)를 20000 USDT로 설정했기 때문에 50배 기준으로 했을 때 초기 투자 자본금은 400 USDT로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만약 포지션의 모든 가치를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5개의 BTC의 선물 계약 하고자 한다면, 5BTC를 입력하고, Entry Price는 본인이 진입하고자 하는 미래 시세, Exit Price는 매도하고자 하는 타겟 시세를 입력하면, 얼만큼의 마진이 요구되는지와 5BTC의 대한 자세한 ROI 및 수익률이 계산된다.
참고로, 레버리지 막대를 좌우로 움직이면 각 배율 별로 최대 주문할 수 있는 한도가 표시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참고하여 포지션을 실행하면 좋을 거 같다.
바이낸스의 자세한 청산가를 알아내기
포지션을 주문하면, 활성화된 거래 내역에서도 자세한 청산가격이 표시되기도 하며, 대략적인 계산을 통해서도 알아낼 수 있지만, 사전에 조금 더 확실하게 알고자 한다면 바이낸스의 Liquidation Price 계산기를 사용하면 되고, 헷지와 원웨이, 교차와 격리모드의 따라 청산가격 결과를 계산할 수 있다.

우선 내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했을 때, 5000 USDT로 14배, BTC를 70000 USDT 1개 계약 했을 때 65,276 USDT의 청산가 값이 나오는데, 여기서 여러분이 반드시 이해할 부분 몇 가지가 존재한다.
- Balance는 마진이 아니며, 선물 계좌의 잔액 기준임
- Balance를 더 추가할수록, 계산기 입장에서는 ‘마진 추가’를 통해 청산가를 낮추는 것으로 받아들임
- Balance는 마진으로 사용할 정확한 금액을 작성해야 자세한 값이 나옴
즉, Balance X 배율 = Quantity X Entry Price <ㅡㅡ 해당 공식이 정확하게 일치 해야 자세한 결과를 얻는다는 의미다.
한편으로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계산하다 보면 Insufficient wallet balance (initial margin) to open a position.이란 경고문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한 공식 중에서, 1) Balance X 배율 < 2) Quantity X Entry Price <ㅡㅡ 2번 부분이 크면 오류가 발생한다.

교차모드의 예시도 알아보자. 일단 57배이며 1BTC 당 7만달러라고 했을 때 실제로 필요한 마진은 70000USDT/57 = 약 1,228 USDT다.
Balance를 22000USDT로 입력해놨고 여기서 1,228USDT 빼면 약 20800USDT가 내 선물 계좌에 보관되어있다는 자산이며, 교차모드이기 때문에 이 20800USDT가 청산이 발동했을 때 사용되는 돈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모든 상황을 가정했을 때 자세한 청산 가격이 48,192.77 USDT라는 의미이며, 선물 계좌에 돈이 더 있다면, Balance USDT를 더 올려주면 된다.
ROI 목표가를 계산하기
단순하게 특정 수익률에 도달 하기 위해, 몇 배로 설정해야 하는지 또 진입 가격은 얼마인지를 알아낼 수 있다. 단순 ROI이기 때문에 특정 예상 마진을 요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현재 비트코인이 100,000 달러이고 이 가격에 맞춰서 20배로 구매했을 때, 105,000 USDT까지 상승해야 만이 총 2배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적절한 진입 시세를 입력하여, ROI 별 타겟 가격을 알아낼 수 있기도 하다.
물타기 계산기를 통해 예상 평단가를 알아내기
현재 특정 구간에 이미 매수 진입한 상황이고, 미래에 물타기 혹은 불타기를 했을 때 실제로 내 포지션의 대한 정확한 평균 가격을 알아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장점으로는 실제 수익 혹은 손실분기점을 미리 알 수 있다 보니 사전 대비가 가능하다. 참고로, 바이낸스의 물타기 계산기도구의 경우는 현물 포지션의 대해서도 자세한 평단가를 알아낼 수 있다.

Quantity 부분에는 실제로 내가 보유하고 있거나 예정인 값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1개의 BTC가 50000USDT이며 실제로 50000USDT에 2개를 구매했을 경우, 각각 50000USDT와 수량은 2개 입력해주면 된다.
선물거래의 경우는 레버리지 배율이 모두 포함된 포지션의 총 수량 가치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500USDT로 레버리지 100배 하여 총 BTC 수량 가치가 1개인 경우 1개를 넣어준다. 각각의 진입 구간 시세를 설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평단가를 확인하면 된다.
최대로 구매 가능한 포지션 내역을 계산하기
현재 본인이 들고 있는 USDT에 대비하여, 얼마만큼의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고, 최대 오픈 가능한 포지션은 얼마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특별히 거래에 크게 도움되는건 아니지만, 재미 삼아 하기에 좋은 기능이라 생각한다.

지금 계정의 전재산이 5000USDT이고 20배로 설정했을 때 우측에 최대 BTC 수량과 레버리지가 포함된 총 USDT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 거래에서는 이 10만달러를 기준으로 수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자세한 수익을 알아내고자 한다면, 암호화폐 변동률을 곱해주면 된다.
위 포지션을 유지한 채, 선물 비트코인의 시세가 10% 상승했다면 10만의 대한 10%를 먹는다는 의미고 청산했을 떄 1만 USDT가 선물 계좌에 꽂힌다.
마치며
지금까지 바이낸스에서 제공하는 여러 계산기 기능들을 아주 자세히 알아봤지만, 마진비율이나 펀딩비 값, MMR 등의 조금 더 섬세한 부분들 같은 경우는 서비스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로 계산해야 한다. 해당 블로그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면 여러 정보를 얻어갈 수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