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들 차트란?
캔들스틱 차트 (Candlestick chart)란, 캔들 모양을 하고 있는 주가와 코인 시세를 표시하는 차트 모양의 일종으로, 파생상품이나 현물거래, 금, 주식 거래 등 모든 금융 거래의 차트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모양입니다. 한편으로는 봉 처럼 생겼다고 해서 봉 차트라 부르기도 합니다.
캔들 차트에서는 크게 양봉 (빨간색으로 표시됨)과 음봉 (파란색으로 표시됨) 2가지로 구분되어 있으며, 양봉은 가격이 올랐다는 것을 의미하고, 음봉은 가격이 내렸다는 것을 뜻 합니다. 또한, 양봉에 있어서 가격이 오르는 시점은 ‘시가’라고 칭하며, 하루의 마감 시세를 ‘종가’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음봉에서는 하락에 있어서 시작점은 ‘시가’, 마감 시세를 ‘종가’라고 부릅니다.
1일 캔들 봉 차트 기준으로 주식과 비트코인 거래의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식 거래인 경우 : 주식은 거래 시장 시작 시간이 9시인 경우 9시 첫 거래 체결 가격이 시가에 해당되며, 마감시간이 4시인 경우 해당 시각 기준으로 종가가 됩니다.
- 비트코인 파생상품과 현물거래인 경우 : 비트코인은 00시에 체결된 첫 거래가 시가이며, 00시 직전에 거래된 거래가 종가를 뜻 합니다. 이는 국내 거래소 기준이며, 비트겟 거래소나 빙엑스 같은 해외 거래소의 경우는 해당 기업 국가의 표준 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1일 봉에 불과하며, 시간 캔들 봉 차트 기준으로 하는 경우, 해당 시각을 기준으로 시가와 종가를 결정합니다. 예를들어, 10분 봉 차트인 경우 10분 간격의 기준으로 시가와 종가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주식의 단일 캔들 차트 종류 (Single Candlestick)
캔들 차트 패턴은 비트코인과 주식 둘 다 동일하게 적용 시킬 수 있고, 종류나 패턴도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추후 거래 하실 때 똑같이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마르보즈 패턴 (Marubozu)
마르보즈 패턴은 시가와 종가 꼬리 (혹은 그림자)가 없는 캔들 차트를 뜻 합니다. 위는 비트겟 거래소의 BTC/USDT의 최근 차트이며, 좀 처럼 쉽게 나타나지 않는 패턴이기도 합니다.
- 양봉으로 마르보즈 패턴으로 종료된 경우 : 하락 추세에서는 반등 신호이며, 상승 추세에서는 추가 상승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음봉으로 종료된 경우 : 매도세가 강한 것을 의미하며, 추가 하락 신호를 뜻 합니다. 상승 추세에서 음봉 마르보즈 패턴이 나타난 경우 하락 전환 신호로 여겨집니다.
스타형 패턴 (Star)
스타 (Star) 패턴이란, 말 그대로 별 처럼 생긴 봉 차트를 뜻 합니다. 위 이미지에서도 확인 할 수 있듯이 몸체가 작고, 시가 종가 꼬리가 작은 균일한 별 모양을 띄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시세 변동이 크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매수세와 매도세의 차이가 적을 때 스타 패턴이 나타납니다.
- 반전 신호로 판단하는 경우 : 장대 양봉이나 음봉으로 상승과 하락의 강력한 힘이 스타 캔들 직후에 동반되었다면, 반전의 신호 (강한 매도매수세)로 판단 될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십자형 도지 패턴과의 차이점은?
매수세 매도세의 차이가 적을 때 (각 꼬리 간격 차가 적음을 의미), 어느정도 몸체가 있는 것을 스타 패턴이라 부르지만, 십자형 도지는 얇은 몸체와 긴 꼬리를 가지고 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얼마나 강한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하게 싸웠는지를 뜻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의 도지 패턴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도지형 패턴 (Doji)
도지 패턴이란, 상승세와 하락세의 힘이 동등한 힘을 가지고 있을 때 형성되는 캔들 차트를 뜻 합니다. 보통 4가지 유형의 다음과 같은 도지 패턴 종류가 있습니다.
- 일자형 도지 : 시가 종가 모두 같을 때 일자형 모양의 도지가 나타납니다. 캔들 차트로는 꼬리가 없는 직사각형의 네모 박스로 보입니다. 굉장히 보기 어려운 패턴이며, 보통 급격한 가격변동 후에 형성되는 편 입니다. 일각에서는 일자형 도지는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일자형 도지는 신뢰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실제 차트에 적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 십자형 도지 (Cross Doji) : 일반적으로 쉽게 볼 수 있는 캔들 패턴입니다. 십자가 형태를 띄고 있으며,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하므로 추세 전환의 가능성이 있음을 예측 해볼 수 있습니다.
급격한 하락 추세를 이어나가다가, 십자형 도지 패턴이 발생함으로써 추세의 흐름이 끊긴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비석형 도지 (Gravestone Doji) : ㅗ 모양을 하고 있어 비석형 도지라 말합니다. 매수세가 없어 아래 꼬리가 형성되지 않은 캔들이며, 상승 추세라면 하락 반전 가능성, 하락 추세인 경우 추가 하락 가능성을 암시 할 수 있습니다.
위 이미지에서도 장대양봉 캔들이 형성되고, 비석형 도지가 만들어지면서 하락 음봉 반전 캔들 차트가 나타났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 지속적인 하락이 발생하였습니다.
- 잠자리형 도지 (Dragonfly Doji) : 매도세가 없어 위 꼬리가 형성되지 않은 캔들이며, 매도세가 없기에 하락 추세면 상승 반전 할 가능성이 있으며, 상승 추세인 경우 추가 상승 가능성을 암시 할 수 있습니다.
위 이미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고점을 뚫지 못하고 하락 추세를 이어가는 차트였지만, 잠자리형 도지 패턴이 발생하면서 상승 추세로 전환되는 차트 흐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행잉맨 캔들 패턴 (Hanging Man)
행잉맨 캔들 패턴은 아래의 긴 꼬리와 상단의 짧은 꼬리, 작은 몸체로 구성되어 있는 유형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상승 추세를 이어오다가 하락의 반전을 암시할 때 나타나는 단일 캔들 차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