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롱 숏 비율 3가지 및 사이트 확인하기
비트코인 롱 숏 비율 그래프를 확인하시면, 롱 및 숏 포지션 중 어느 포지션에 진입한 사용자들이 많은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인 롱 숏 비율 확인만으로 어느 포지션에 진입할지 지표가 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포지션이 너무 한 쪽에 몰려있는 경우, 청산 상황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보니, 이런 비율 사이트를 확인하신다면 더 안정적인 매매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비트코인 롱 숏 비율과 관련하여 다양하고 자세한 내용들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겟 | 빙엑스 | MEXC | 바이비트 | |
수수료 | 0.02%, 0.04% | 0.045% | 0% 0.03% | 0.01%, 0.048% |
순위 | 3위 | 5위 | 7위 | 2위 |
추천도 | 5점 만점 (가장 추천) | 5점 중 4.5 | 5점 중 4 | 5점 중 4.5 |
언어 | 영어 | 영어 | 한국어 | 영어 |
할인 | 50% | 50% | 10% | 20% |
가이드 | 비트겟 가이드북 | 빙엑스 가이드북 | MEXC 가이드북 | 바이비트 가이드북 |
가입하기 | 가입하기 | 가입하기 | 가입하기 |
비트코인 롱 숏 비율 3가지
- 비트코인 롱 숏 비율 사이트
- 바이낸스 롱 숏 비율 확인해보기
- 비트겟 롱 숏 비율 확인해보기
- 코인 롱 숏 비율의 따른 개인적인 의견
비트코인 롱 숏 비율 사이트
비트코인 롱 숏 비율 사이트는 개인적으로 코인글래스를 추천드립니다. 국내에서 유명한 김프가 사이트도 코인글래스의 API를 따와서 사용하고 있으며, 원본 사이트는 코인글래스이기 때문입니다.
코인글래스에서 제공하는 롱 숏 비율의 경우는 위 이미지와 같이 상위에 위치하고 있는 대부분의 선물거래소들의 롱 숏 비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하고자 하는 가상화폐를 선택하시고, 시간 단위를 설정하시면 전체 시간 별 롱 숏 비율을 쉽게 확인해볼 수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이트들은 외부 API를 사용하여 반영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원본 거래소 간의 시간 차이 (딜레이)가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는데요. 가장 정확한 코인 롱 숏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각 거래소에서 직접 제공하는 롱 숏 비율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바이낸스 롱 숏 비율 확인해보기
바이낸스 롱 숏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페이지를 제공하며, 바이낸스 거래소를 사용하신다면 바이낸스에서 직접 제공하는 바이낸스 롱 숏 비율 차트를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바이낸스 측에서 제공하는 비율 같은 경우는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합니다. 위 이미지는 상위 20%의 마진 지갑에 자산이 많은 트레이더들의 ‘계정’을 기준으로 롱 혹은 숏 포지션 비율 그래프를 나타낸 차트입니다.
위 이미지는 마찬가지로 상위 20%의 마진 지갑 자산이 많은 트레이더들의 ‘포지션 주문’을 기준으로 롱 숏 비율을 나타낸 차트입니다.
다음은 포지션에 진입한 바이낸스의 모든 이용자들을 기준으로 한 롱 숏 비율 차트입니다. 여기서 제공하는 그래프는 5분이 지나자마자 오류 없이 바로 실시간 반영되며, 다른 외부 사이트보다 더 자세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기도 합니다.
비트겟 롱 숏 비율 확인해보기
비트겟 거래소 같은 경우는 선물거래 페이지에서 실시간으로 롱 숏 비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비트겟과 같이 실시간으로 비율을 제공하는 사이트는 많이 없다는 점을 강조드리며, 바이비트 및 다른 유명 거래소에서도 제공하지 않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또,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비트겟 롱 숏 비율을 확인하면서, 바로 즉시 선물 지표로 삼아볼 수 있기도 합니다.
코인 롱 숏 비율의 따른 개인적인 의견
롱 숏 비율이 심각할 정도로 너무 한 쪽에 몰려있는 경우, 거래소의 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에 고의적인 시세 조작 및 청산을 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도 합니다. 사용자들의 선물 수익을 통해 얻은 자산은 각 거래소가 모두 책임을 져야하고, 이용자들의 수익금을 출금 해줘야하기 때문입니다.
거래소는 기업이며, 기업 입장에서는 매출 및 수익을 내야하기 때문에 거래소 내 많은 비율의 사용자들이 수익을 내는 것을 매우 꺼려합니다. 선물 같은 경우는 현물보다 더 고수익이 나는 거래이기 때문에 더 빡센 관리와 제어를 한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개인적으로 조금 아쉬운 부분은 롱 숏 비율 차트 중에서 롱 포지션에 얼마만큼의 자금이 투입되었는지, 숏 포지션에는 얼마나 있는지 이러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각 포지션에 진입한 전체 증거금까지 확인해볼 수 있다면은 선물거래에 더 확실한 지표를 얻을 수 있을텐데 말입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비트코인 롱 숏 비율 및 코인 롱 숏 비율 사이트의 대해서 다양하고 자세한 내용들을 확인해봤습니다. 코인 롱 숏도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지만, 이 외 코인 차트의 흐름이라던가 차트의 보조지표까지 활용해보신다면 더 정확한 지표를 통해 선물 수익을 얻어볼 수 있으니, 차트 공부도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많은 선물 수익이 발생하시길 바라면서 이번 포스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