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지갑 사용법 4가지 및 지갑 만들기
바이낸스 지갑 같은 경우는 특정 코인의 입금 지갑을 생성하는 순간에 바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별도로 바이낸스 지갑 만들기를 하지 않으셔도 손쉽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지갑 사용법 또한 굉장히 단순하며, 굉장히 간단하기 때문에 이번 포스트를 참고하신다면 관련 모든 내용을 마스터하실 수 있습니다.
비트겟 | 빙엑스 | MEXC | 바이비트 | |
수수료 | 0.02%, 0.04% | 0.045% | 0% 0.03% | 0.01%, 0.048% |
순위 | 3위 | 5위 | 7위 | 2위 |
추천도 | 5점 만점 (가장 추천) | 5점 중 4.5 | 5점 중 4 | 5점 중 4.5 |
언어 | 영어 | 영어 | 한국어 | 영어 |
할인 | 50% | 50% | 10% | 20% |
가이드 | 비트겟 가이드북 | 빙엑스 가이드북 | MEXC 가이드북 | 바이비트 가이드북 |
가입하기 | 가입하기 | 가입하기 | 가입하기 |
바이낸스 지갑 사용법
- 바이낸스 지갑 개념
- 바이낸스 지갑 만들기
- 바이낸스 지갑 주소 확인해보기
- 바이낸스 지갑 주소 추적하기
- 바이낸스 지갑 관련 FAQ
바이낸스 지갑 개념
바이낸스에는 총 4가지 종류의 지갑 형태들이 있습니다. 각각 현물, 선물, 마진, 펀딩 용 지갑으로 구분되어있으며, 각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에 맞는 지갑으로 자산을 옮기셔야 합니다.
현물과 법정화폐 지갑
가장 일반적인 지갑입니다. 현물 코인들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실제 현금인 법정화폐를 보관할 수 있는 지갑입니다.
대표적으로 USD, EUR, HKD와 같은 실제 현금입니다. 바이낸스에서도 빗썸과 업비트와 같이 실계좌로 은행 입출금 할 수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원화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피아트 및 현물지갑은 바이낸스의 현물거래와 은행 입출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선물지갑
바이낸스의 선물거래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한 지갑입니다. 현물지갑에서 선물지갑으로 자산을 이체할 수 있고, 선물지갑에 자산이 있어야 만이 선물거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마진지갑
마진지갑은 마진거래를 위한 지갑인데요. 마진거래와 선물거래의 차이의 대해 혼란스러워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만, 이거 두 가지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선물거래는 레버리지 배율에 따라 거래 수수료를 더 지불하는 방식이지만, 마진거래는 빌린 시간당 수수료가 책정되며, 추후에 상환해야하는 방식입니다.
또, 레버리지는 125배까지의 레버리지가 가능하지만 마진거래는 레버리지가 정해져있습니다.
펀딩지갑
펀딩지갑은 바이낸스의 투자 혹은 디파이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한 지갑입니다. 마찬가지로, 펀딩지갑에 일정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야 만이 디파이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디파이란, 특정 코인을 예치함으로써 이자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자산 이동 방법
각 플랫폼 지갑 간에 자산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초매우 간단합니다. 우측에 보이는 트랜스퍼 버튼을 누르시면 위 이미지와 동일한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여기서 현물 > 펀딩 지갑을 선택하시면, 현물 지갑에서 펀딩 지갑으로 자산을 옮기실 수가 있습니다.
내부 자산이체 같은 경우는 수수료가 0%이기 때문에 아무런 부담 없이 이체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지갑 만들기
위에서 말씀드렸다 싶이 바이낸스 지갑 생성은 입금 페이지를 클릭하는 순간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렇게만 말씀드리면 이해가 잘 안되실 수 있는데요. 아래의 이미지들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들어 바이낸스 리플 지갑을 생성하고자 할 때, 현물지갑 페이지에서 Deposit이란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위 이미지와 같이 리플 네트워크 선택하는 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인 네트워크란, 쉽게 말해 전송 및 입금 받을 수 있는 1:1 방식의 도로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예를들어, 바이낸스 리플 BSC 네트워크로 입금받기 위해서는 출금하는 쪽에서도 리플 BSC 네트워크를 지원해야 입금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입출금 네트워크가 상이하면, 정상적인 입출금이 불가능하며 자산 손실이 발생하시게 되니 꼭 입출금 네트워크를 맞춰주셔야 합니다.
그럼 위 이미지와 같이 OK 버튼을 누르시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OK 버튼을 누르시는 순간 지갑 주소 생성이 완료됩니다. 이 지갑 주소 같은 경우는 XRPSCAN과 같은 사이트에서 주소 추적 및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바이낸스 지갑 주소 확인해보기
제가 방금 생성한 리플 지갑 주소이며, 위 리플 지갑은 XRP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XRPSCAN에서 지갑 주소 추적과 확인을 하셔야합니다.
만약에 리플을 BSC (BEP-20) 네트워크로 생성하였다면, BSCSCAN에서 지갑 추적 및 확인이 가능합니다.
XRPSCAN에 접속하고, 우측 상단에 방금 생성한 바이낸스 지갑 주소를 넣습니다. 검색버튼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가 나타나는데요.
이름은 바이낸스, 지갑주소와 생성날짜 등 다양한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금 밑으로 스크롤 하시면 다양한 이체 내역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플 지갑 같은 경우는 바이낸스 거래소 이용자들 모두 다 같은 주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입출금 내역 확인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리플 지갑 주소 추적을 하시려면, 우측에 있는 DT 코드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DT 코드란 데스티네이션 태그 넘버의 줄임말로, 바이낸스 리플 입금 페이지에 있는 데스티네이션 코드입니다.
리플 지갑은 다른 가상화폐 지갑과 달리 조금 독특하게 운영됩니다.
바이낸스 지갑 주소 추적해보기
지금까지 바이낸스 지갑 주소 확인까지 알아봤습니다. 이제는 입금 주소 추적을 어떤 방식으로 해야할지의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들어, 타 거래소에서 바이낸스 USDT 테더코인을 BEP-20 네트워크를 통해 입금받고자 할 때, 거래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바이낸스 USDT 테더코인의 BEP 20 주소를 조회해보시면 되는데요.
BEP 20 네트워크 같은 경우는 BSCSCAN에서 지갑 추적을 하시면 됩니다. 위 입금 주소는 저의 USDT 테더코인의 BEP 20 입금 주소입니다.
마찬가지로 아래로 조금 내리다보면, 해당 지갑의 따른 입출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 언급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지갑에는 일정 잔액의 BNB가 있다고 표시되는데, 이는 바이낸스 거래소가 보유한 자산입니다.
또, 토큰명을 확인할 수 있는 탭도 있습니다. 제 바이낸스의 BNB 네트워크 지갑 같은 경우는 알 수없는 토큰이 입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만, 이는 토큰 소유자가 무작위 지갑으로 전송했거나 스캠 토큰입니다. 따라서, 아무런 신경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바이낸스 지갑 관련 FAQ
입출금 소요시간은?
바이낸스 내부 이체 같은 경우는 이체 즉시 바로 자산이 이동됩니다. 그러나, 타 거래소 혹은 메타마스크와 같은 개인 지갑으로 출금하시는 경우 최대 약 30분이 소요되실 수있습니다. ERC-20 네트워크 같은 경우는 최대 1시간까지 잡아야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바이낸스 지갑과 관련하여 다양한 내용들을 확인해봤습니다. 바이낸스 뿐만아니라 좋은 거래소들은 얼마든지 있으니, 여기저기 거래소들을 알아보시고, 여러분들에게 가장 잘 알맞을거 같은 곳을 선택해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이상 이번 포스트를 마치도록 할게요.
현물지갑은 코인별로 1개만 만들수 있나요?
비트코인을 여러지갑에 나누어 놓고 싶어서요.
바이낸스 지갑은 코인 별로 1개만 가능하세요. 계정 여러개 하는거 아닌이상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