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레버리지 특징 4가지 및 장단점, 수수료 계산 방법
비트코인 레버리지는 선물거래와 마진거래와 같은 가상화폐 파생상품에만 존재하는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레버리지가 있기에 단기간 소자본 고수익 혹은 많은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고배율 레버리지로 설정할 수록 위험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현물거래보다 더 신중하고, 올바른 판단으로 거래를 해야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비트코인 레버리지와 관련하여 다양하고 자세한 내용들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겟 | 빙엑스 | MEXC | 바이비트 | |
수수료 | 0.02%, 0.04% | 0.045% | 0% 0.03% | 0.01%, 0.048% |
순위 | 3위 | 5위 | 7위 | 2위 |
추천도 | 5점 만점 (가장 추천) | 5점 중 4.5 | 5점 중 4 | 5점 중 4.5 |
언어 | 영어 | 영어 | 한국어 | 영어 |
할인 | 50% | 50% | 10% | 20% |
가이드 | 비트겟 가이드북 | 빙엑스 가이드북 | MEXC 가이드북 | 바이비트 가이드북 |
가입하기 | 가입하기 | 가입하기 | 가입하기 |
비트코인 레버리지 특징 4가지
- 레버리지 장점과 단점
- 레버리지 수익 계산 방법
- 레버리지 수수료 계산 방법
- 레버리지 별 청산
레버리지 장점과 단점
코인 레버리지의 최고 장점으로는 적은 자금으로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인데요. 예를들어, 100만원 가지고 현물 코인을 매수하였으며, 코인 시세가 10% 상승하는 경우 10만원 정도만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선물거래 레버리지 10배로 설정하여, 코인 시세가 10% 상승한다면 약 100만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현물거래는 코인 시세가 상승해야 만이 수익을 얻습니다만, 선물 및 마진거래의 경우는 숏 포지션을 통해 코인 시세 하락의 대한 수익도 크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도 합니다.
이 처럼, 코인 레버리지는 굉장히 파격적인 장점이 있는 반면, 최악의 단점 대표적으로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산 손실 위험성이 굉장히 큽니다.
- 도박 중독의 위험성
- 청산
자산 손실 위험성
레버리지는 단시간 고수익 및 시원스러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빠르게 손실을 볼 수도 있는 위험성이 큰 거래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부분과 같이 레버리지 10배 및 코인 시세가 10%만큼 변동된 경우 100만원으로도 100만원 상당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100만원이 모두 청산 (자금이 완전 소멸) 되거나, 코인 시세가 5%만 변동되어도 50만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도박 중독의 위험성
선물 수익에 한번 맛 들리면, 도박 중독에서 헤어나오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현물보다 더 짜릿한 수익성과 재미성이 보장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자산을 계속 잃고 있음에도 주구장창 선물거래만 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청산
청산은 내 증거금 (주문금액)이 모두 소멸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레버리지별 청산가 기준이 있으며, 청산가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청산이 발동됩니다. 청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차 모드로 주문을 하거나 TP/SL 테이크프로핏 및 스탑로스를 통해 방지해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레버리지 수익 계산 방법
레버리지 수익 계산하는 방법은 굉장히 간단한데요. 수익 계산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활용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 [증거금(주문금액) X 레버리지 X 코인시세 변동률] – 선물 수수료 = 최종 수익
예를들어 100만원으로 레버리지 20배로 설정하였으며, 코인 시세가 10% 변동된 경우, 수익은 약 200만원입니다. 여기서 포지션 진입 + 종료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가 최종 선물 수익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레버리지 수수료 계산 방법
레버리지 수수료는 레버리지가 높아질 수록 수수료 값이 상승합니다. 대략적인 레버리지 수수료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포지션 진입 증거금 X 레버리지 X 선물 수수료 (지정가, 시장가)] + [매도 증거금 X 레버리지 X 선물수수료] = 최종 레버리지 수수료
예를들어, 1백만원으로 레버리지 10배를 설정하였으며, 진입 수수료가 0.04%라고 가정한다면, 4천원입니다. 또, 매도했을 때 증거금 가치가 90만원이며, 매도 수수료가 0.04%라고 한다면, 3600원입니다. 최종 레버리지 수수료는 7600원입니다.
비트코인 레버리지 별 대략적인 청산가 계산
레버리지 별 자세한 청산가 같은 경우는 거래소마다 조금씩 정책이 상이하기 때문에 자세한 청산가 확인은 주문 내역에서 확인하시거나,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청산가 계산기를 활용하셔야 합니다. 그렇지만, 대략적인 청산가 기준을 알 수가 있는데요.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레버리지 125배인 경우 : 0.75%를 초과한 경우 청산
- 레버리지 100배인 경우 : 1%를 초과한 경우 청산
- 레버리지 50배인 경우 : 2%를 초과한 경우 청산
- 레버리지 10배인 경우 : 10%를 초과한 경우 청산
각 퍼센테이지는 코인 시세 변동률 기준입니다. 예를들어, 롱 포지션으로 진입했을 경우, 코인 시세가 퍼센테이지 만큼 하락했을 때 청산이 발동되며, 숏 포지션인 경우 시세가 상승했을 때 입니다.
비트코인 레버리지 청산가 자세한 계산 방법
- 강제청산가격 = (진입가격 X 레버리지)/{레버리지-1+(유지 증거금 비율 X 레버리지)}
위 공식은 비트코인 레버리지 청산가 자세한 값을 구할 수 있는 공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지 증거금 비율은 0.005이며, 바이낸스와 바이비트 거래소 기준입니다.
예를들어 비트코인 2만 USDT 시세에 숏 포지션에 진입하였으며 레버리지 10배로 들어간 경우 다음과 같은 강제청산가 가격을 알 수가 있겠습니다.
- (20000 X 10)/{10-1+(0.005X10)} = 22346
숏 포지션의 대해서 강제 청산가 가격은 22346 USDT가 되겠습니다. 반대로 롱 포지션의 경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강제청산가격 = (진입가격 X 레버리지)/{레버리지+1-(유지 증거금 비율 X 레버리지)}
마치며
지금까지 비트코인 레버리지의 대해서 다양하고 자세한 내용들을 확인해봤습니다. 선물거래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처음부터 너무 많은 자금으로 거래하지 마시고, 1~2만원 소액으로 연습을 해보시다가 적성에 맞다 싶으면 그 때 금액을 조금씩 늘려보시는 쪽을 권장하고 싶습니다. 이상 많은 코인 수익이 발생하시길 바라면서 이번 포스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